SKT 청문회 요약
본문 바로가기
시사 이슈/사회

SKT 청문회 요약

by 토킹맨 2025. 4. 30.
728x90

 

📢 혼란 가중: 정부 vs SKT 입장 차이

주혁신당 이예민 의원은 정부와 SK텔레콤의 유심 보호 서비스 관련 발표가 서로 다르다고 지적했습니다.

  • 정부: 예약 신청 완료 시점부터 보상
  • SKT: 가입 여부와 관계없이 보상
    → 국민들 사이에 보상 기준에 대한 혼란이 확산되자, SKT는 해명에 나섰지만 이 의원은 "정확하지 않은 소통이 더 큰 문제"라고 비판했습니다.

✈️ 해외 로밍·유심 교체 관련 실질적 불편

이 의원은 유심 보호 서비스 신청 시

  • 해외 로밍 불가
  • 유심 물량 부족
    등 현실적 제약을 지적했습니다.
    → "피해는 국민이 보고, 고생도 국민이 한다"며, 공항 등지에서의 대처 계획 유무를 질의했습니다.

🛠️ 유심 리라이팅 미완성과 위약금 부과 논란

  • 유심 리라이팅 기능은 아직 개발 중
  • 기술적으로 미완성된 상황에서 고객에게 위약금 부과는 부당
    → 이 의원은 이번 해킹 사고가 사업자 귀책이라는 점에서 위약금 면제 및 피해 보상이 당연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소탐대실 하지 마시길 바랍니다"는 발언으로 통신사의 책임을 강하게 지적했습니다.

🕵️ 폐쇄망 해킹 가능성과 보안 투자 미흡

  • 이번 해킹은 폐쇄망(HSS)에서 발생
    다른 서버나 민감 정보 유출 가능성까지 우려 제기
  • SKT의 정보보호 투자 비율은 타 통신사 대비 낮음
    → "예견됐던 사고", "보안 투자 소홀"이라는 비판 여론
  • 정보보호 임원 회의 개최 횟수
  • IMEI 등 핵심 정보 유출 여부에 대한 명확한 확인
    을 요구하며, 정부와 통신사의 적극적 대처를 촉구했습니다.

📉 해킹 여파로 시가총액 1조 원 증발

SK텔레콤이 대규모 해킹 피해를 입으면서 국민 신뢰에 심각한 손상을 입었습니다.

  • 시가총액 약 1조 원 증발
  • 유심 부족, 금융 피해 우려, 개인정보 유출 공포 등 고객 불편이 속출

🗣️ SKT 사장의 사과와 미흡한 대응

유영상 SKT 사장은 공식 사과하며 초기 대응의 미숙함을 인정했습니다.

  • 피해 고객 안내 지연
  • 피싱·스미싱 2차 피해 확산
  • 사후 대책보다 사전 대응이 부족했다는 비판 제기

💳 유심 대란과 가격 폭등

해킹 이후 유심 교체 수요 급증 → 유심 품귀 사태

  • 정가 7,700원 → 중고거래 앱에서 최대 15만 원까지 거래
  • 2,300만 명 가입자 대비 유심 확보량은 100만 개 수준

🤝 신뢰 회복을 위한 정책 제안

국회 이윤기 의원은 SKT에 다음과 같은 조치를 제안

  • 번호 이동 위약금 폐지
  • 65세 이상 고령자 및 디지털 취약계층 보호 서비스 도입
    → 유영상 사장, 취약계층 보호는 수용, 위약금 폐지는 “검토하겠다”는 입장

🔐 정보보호 투자 부족 문제

SKT는 매출과 이익에 비해 정보보호 투자 비중이 현저히 낮음

  • 영업이익 대비 정보보호 투자 비율
    • SKT: 3.29%
    • KT: 15%
    • LGU+: 7.34%
      구조적 보안 소홀의 결과라는 지적

📱 유심 교체 여부, 임원진 투명성 요구

  • 유영상 사장: “유심 보호 서비스만 가입, 교체는 하지 않았다
  • 국회: 최태원 회장 등 임원진의 유심 교체 여부 공개 요구
    임원진조차 유심을 교체했다면, 보호 서비스 신뢰성 의문

🧩 결론

이번 해킹 사태는 단순한 사고가 아닌 통신 보안의 구조적 허점을 드러낸 사건입니다.
정보보호 투자 확대, 위약금 폐지 등 근본적 신뢰 회복 조치가 절실합니다.
SKT는 단기 봉합이 아닌 시스템 전반의 투명성과 책임성 강화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