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마존웹서비스(AWS)에서 발생한 대규모 서비스 장애로 전세계 2000여 개 웹사이트와 온라인 서비스가 3시간 동안 중단되며 디지털 세상이 마비 상태에 빠졌습니다. 10월 20일 오후 4시경(현지시간 자정) 시작된 이번 장애는 AWS의 핵심 데이터센터인 미국 동부(US-EAST-1) 리전에서 발생해 전 세계 인터넷 인프라에 연쇄적인 타격을 입혔습니다.
💥 국내외 주요 서비스 동시 마비
장애가 발생하자 아마존 프라임, 퍼플렉시티, 스냅챗, 듀오링고, 코인베이스, 포트나이트, 로블록스 등 글로벌 주요 플랫폼들이 동시에 접속 불가 상태가 됐습니다. 국내에서는 크래프톤의 '배틀그라운드'가 서버 장애로 3시간 가까이 접속이 원활하지 않았고, 삼성닷컴과 삼성월렛 등에서도 접속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크래프톤 관계자는 "현재 발생중인 서버 불안정 현상은 글로벌 외부 인프라 서비스 장애로 인해 발생하고 있다"며 "관련 업체와 협업을 통해 원인 확인 및 복구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카카오게임즈는 배틀그라운드 이용자들에게 저녁 7시 26분에 정상 이용이 가능해졌다는 공지를 올렸습니다.
⚠️ 클라우드 인프라의 취약성 노출
AWS는 장애 원인을 "미국 동부 해안 지역의 게이트웨이 문제"라고 설명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DynamoDB API 엔드포인트의 DNS 해석 문제가 발생하면서 다른 AWS 서비스들까지 연쇄적으로 영향을 받았습니다.
전 세계 클라우드 시장 점유율 3분의 1을 차지하는 AWS의 장애는 인터넷 인프라의 집중화 위험성을 다시 한번 드러냈습니다. 다운디텍터에 따르면 장애 발생 직후 전 세계에서 수천 건의 사용자 신고가 접수됐으며, AWS에만 6000건이 넘는 오류 신고가 들어왔습니다.
📊 98백만 건의 오류 신고 폭증
다운디텍터는 총 9800만 건의 오류 보고를 기록했으며, 이 중 270만 건이 미국에서, 110만 건이 영국에서 발생했습니다. 나머지는 호주, 일본, 네덜란드, 독일, 프랑스 등에서 보고됐습니다.
다운디텍터의 다니엘 라미레즈 제품 디렉터는 "기초적인 인터넷 서비스가 많은 온라인 서비스를 중단시키는 이런 유형의 장애는 연간 몇 차례만 발생한다"며 "조직들이 클라우드 서비스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특정 클라우드 플랫폼에 최적화된 데이터 아키텍처를 설계하도록 권장받으면서 이런 장애가 약간 더 빈번해지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 3시간 만에 복구 완료
AWS는 오후 7시경(현지시간 오후 3시) "대부분의 복구 작업을 완료했다"고 발표하며 약 3시간 만에 서비스를 정상화했습니다. 복구 과정에서 AWS는 EC2 인스턴스 신규 런치를 일시적으로 제한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습니다.
AWS 상태 페이지에서는 "DynamoDB DNS 문제가 해결됐고 대부분의 AWS 서비스 운영이 현재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 반복되는 글로벌 IT 대란
이번 사태는 지난해 크라우드스트라이크 소프트웨어 결함이나 올해 구글 클라우드 시스템 장애에 이어 IT 인프라 기업의 내부 결함으로 인한 전 세계적 인터넷 대란이 계속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AWS의 US-EAST-1 리전은 버지니아 북부에 위치한 아마존의 가장 오래되고 큰 웹서비스 센터로, 미국과 유럽의 많은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 파급효과가 컸습니다.
💰 수천억 달러 경제적 손실 추정
업계 전문가는 이번 장애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수천억 달러에 달할 수 있다고 추정했습니다. AWS는 2024년 1070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아마존 전체 수익의 17%를 차지하는 핵심 사업부문입니다.
이번 사건은 현대 디지털 경제가 소수의 거대 클라우드 제공업체에 얼마나 의존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들 중 하나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얼마나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적나라하게 보여줬습니다.
'시사 이슈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머스크, 1조 달러 보수 승인 안되면 "테슬라 떠나겠다" 최후통첩 (0) | 2025.10.22 |
|---|---|
| 비욘드 미트 주가, 밈 주도 랠리로 388% 급등 (0) | 2025.10.22 |
| 구글 제미나이, AI 트래픽 점유율 12.9%로 급증 (0) | 2025.10.21 |
| S&P 500, 강력한 실적과 무역전쟁 완화로 급등 (0) | 2025.10.21 |
| 코스피 3850 돌파하며 5거래일 연속 사상 최고치 경신 (0) | 2025.10.21 |
댓글